MSSQL에서 INDEX(인덱스)는 데이터 검색 속도를 높이는 핵심 요소입니다. 하지만 잘못 사용하면 오히려 성능이 저하될 수도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MSSQL에서 인덱스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성능을 최적화하는 전략을 정리하겠습니다. ✅
🎯 1. 인덱스란?
인덱스(Index)는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데이터 구조입니다.
마치 책의 목차처럼, 특정 데이터를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MSSQL에서 제공하는 주요 인덱스 유형:
인덱스 종류설명
클러스터형 인덱스(Clustered Index) | 테이블의 물리적 순서를 인덱스 키 값 기준으로 정렬 |
비클러스터형 인덱스(Non-Clustered Index) | 데이터와 별도로 저장되며, 테이블의 특정 컬럼을 기반으로 인덱스 생성 |
고유 인덱스(Unique Index) |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 인덱스 |
필터된 인덱스(Filtered Index) |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행만 인덱싱 |
커버링 인덱스(Covering Index) | 인덱스가 포함된 컬럼만으로 쿼리를 해결할 수 있도록 최적화 |
🎯 2. 인덱스가 성능에 미치는 영향
✅ 인덱스가 성능을 향상시키는 경우
WHERE
,JOIN
,ORDER BY
,GROUP BY
와 같이 검색이 많은 쿼리 실행 시 속도 향상- 대량 데이터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행을 빠르게 찾을 때 유용
- SELECT 성능이 중요한 경우
❌ 인덱스가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는 경우
INSERT
,UPDATE
,DELETE
가 빈번한 테이블에 과도한 인덱스를 추가할 경우- 너무 많은 인덱스는 관리 오버헤드 증가
- 자주 변경되는 칼럼에는 적절한 인덱스를 적용해야 함
🎯 3. MSSQL에서 인덱스 생성 및 활용
✅ (1) 클러스터형 인덱스 생성
클러스터형 인덱스는 기본 키(PK)가 있는 테이블에서 자동 생성됩니다.
직접 생성하려면 다음과 같이 사용합니다.
-- 클러스터형 인덱스 생성 (기본적으로 PK에 의해 생성됨)
CREATE CLUSTERED INDEX idx_orders ON Orders (OrderDate);
🔹 테이블당 하나의 클러스터형 인덱스만 가능
🔹 데이터 자체가 인덱스 기준으로 정렬됨
✅ (2) 비클러스터형 인덱스 생성
비클러스터형 인덱스는 테이블의 물리적 순서와 별개로 저장됩니다.
-- 비클러스터형 인덱스 생성
CREATE NONCLUSTERED INDEX idx_customer ON Orders (CustomerID);
🔹 WHERE CustomerID = ?
조건의 성능을 향상시킴
🔹 다중 검색 조건에서는 커버링 인덱스를 고려
✅ (3) 커버링 인덱스 활용
커버링 인덱스는 쿼리에서 필요한 모든 컬럼을 인덱스에 포함하여 쿼리 실행 속도를 높입니다.
-- 커버링 인덱스 (INCLUDE 옵션 활용)
CREATE NONCLUSTERED INDEX idx_orders_covering
ON Orders (CustomerID)
INCLUDE (OrderDate, TotalAmount);
🔹 CustomerID
를 기준으로 검색하면서 OrderDate
, TotalAmount
도 인덱스에 포함
🔹 테이블에 접근하지 않고 인덱스만으로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음 (I/O 감소)
✅ (4) 필터된 인덱스 활용
특정 데이터를 대상으로만 인덱스를 걸어 불필요한 데이터 인덱싱을 방지합니다.
--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행에만 인덱스를 생성
CREATE NONCLUSTERED INDEX idx_orders_filtered
ON Orders (OrderDate)
WHERE OrderStatus = 'Completed';
🔹 OrderStatus = 'Completed'
인 데이터만 인덱스에 포함하여 성능 최적화
🎯 4. 성능 최적화를 위한 인덱스 전략
✅ (1) 실행 계획(EXPLAIN PLAN) 확인
인덱스가 제대로 활용되고 있는지 실행 계획을 확인하세요.
-- 실행 계획 확인
SET STATISTICS IO ON;
SET STATISTICS TIME ON;
GO
SELECT * FROM Orders WHERE CustomerID = 123;
GO
🔹 인덱스 스캔(Index Scan) → 인덱스의 대부분을 검색 (덜 효율적)
🔹 인덱스 탐색(Index Seek) → 인덱스의 특정 부분만 검색 (더 효율적)
✅ (2) 과도한 인덱스 방지
너무 많은 인덱스는 쓰기(INSERT, UPDATE, DELETE)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음.
👉 실제 자주 사용되는 쿼리 기준으로 필요한 인덱스만 유지
✅ (3) 정기적인 인덱스 조정
MSSQL에서는 인덱스 조각화(인덱스 단편화)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기적으로 재구성(ALTER INDEX … REBUILD) 하여 성능을 유지해야 합니다.
-- 인덱스 재구성 (조각화 해결)
ALTER INDEX idx_orders ON Orders REBUILD;
🔹 인덱스 조각화(Fragmentation)가 많으면 성능이 저하될 수 있음
🏆 5. 정리 및 결론
✅ MSSQL 인덱스 최적화 핵심 전략
- 자주 검색하는 컬럼에 인덱스를 생성
- 클러스터형 vs 비클러스터형 인덱스 차이 이해
- 커버링 인덱스를 활용하여 I/O 최소화
- 필터된 인덱스로 불필요한 인덱스 오버헤드 감소
- 실행 계획(EXPLAIN PLAN)을 확인하여 인덱스 적용 여부 체크
- 불필요한 인덱스는 삭제하여 쓰기 성능 유지
- 정기적으로 인덱스를 재구성하여 성능 유지
인덱스를 잘 활용하면 SELECT 성능은 극대화하면서도 쓰기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는 최적의 데이터베이스 환경을 만들 수 있습니다. 🚀
💡 MSSQL 인덱스 관련 질문이나 궁금한 점이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
'Programm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 MSSQL에서 PARTITION BY를 활용한 고급 쿼리 작성법 (0) | 2025.03.16 |
---|---|
🎯 MSSQL에서 CASE WHEN과 IIF를 활용한 조건 분기 (0) | 2025.03.14 |
🚀 MSSQL에서 동적 SQL(Dynamic SQL) 활용하기 (0) | 2025.03.11 |
🚀MSSQL에서 CTE (Common Table Expression) 활용법 (0) | 2025.03.10 |
📌 MSSQL에서 그룹별 최신 데이터 가져오기 (0) | 2025.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