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91

연금저축·퇴직연금(IRP), 세금 혜택 200% 활용하는 방법

연금저축이나 IRP는 단순히 “노후 대비용 저축” 정도로만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조금 더 들여다보면, 이 계좌들이 세금을 줄이고, 돈을 더 크게 불릴 수 있는 강력한 도구라는 걸 알 수 있습니다.오늘은 연금 계좌의 핵심 장점인 ① 세금 이연효과, ② 복리효과, ③ 세액공제 한도 초과 납입의 비과세 효과를 초보 투자자의 눈높이에 맞춰 풀어보겠습니다.1. 세금을 나중으로 미루는 힘: 배당소득세 이연효과📌 일반 계좌와 비교해보기일반 계좌: 주식에서 배당금을 받으면 바로 15.4% 세금을 떼고 들어옵니다. 예를 들어 10만 원 배당금을 받았다면, 실제로는 84,600원만 통장에 찍히죠.연금 계좌: 같은 배당금 10만 원을 받아도 세금을 떼지 않고 10만 원 전액이 계좌에 남습니다.이 차이가 단순해 보이지..

Read 2025.09.11

레이건과 대처, 신자유주의로 스태그플레이션을 돌파하다

1. 1970년대의 그림자 – ‘경제학의 위기’1970년대 세계 경제는 전례 없는 딜레마에 빠져 있었다.경기가 침체되면 물가가 안정되거나 하락한다는 것은 당시 경제학의 상식이었다. 그러나 현실은 달랐다. 경기침체 속에서 물가가 계속 치솟는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이 나타난 것이다.1973년과 1979년, 두 차례 오일쇼크가 세계 경제를 강타했다.원유 가격은 폭등했고, 에너지 의존도가 높은 산업은 연쇄적으로 무너졌다.생산성은 정체됐는데, 노동조합은 강하게 임금 인상을 요구했다.정부는 경기 부양을 위해 지출을 늘렸지만, 오히려 인플레이션만 키웠다.이 시기 영국은 ‘유럽의 병자’라는 오명을 뒤집어썼다. 미국도 물가상승률이 두 자릿수를 기록하며 혼란에 빠졌다. 케인즈주의는 더 이상 해답을 주..

Read 2025.08.01

감액배당, 이대로 괜찮을까? - 조세회피 이슈 심층분석

요즘 주식 투자 관련 뉴스를 보면 ‘감액배당’이라는 용어가 자주 등장합니다. 특히 메리츠금융지주 등 대기업들이 대규모 감액배당을 실시하면서, 세금 문제와 관련해 논란이 뜨겁습니다. 감액배당이란 무엇이고, 어떤 조세회피 문제가 있는지 정리해봤습니다.감액배당이란?감액배당은 기업이 이익잉여금 대신 ‘자본준비금(납입자본)’ 등 자본을 줄여서 그 돈을 주주에게 배당하는 방식입니다.일반 배당: 영업이익에서 남은 이익잉여금으로 배당 → 배당소득세 부과(최소 15.4%)감액배당: 자본준비금 등 자본으로 배당 → 현행법상 ‘원금 반환’ 간주, 배당소득세 비과세즉, 같은 금액을 받아도 감액배당이면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됩니다.감액배당, 왜 조세회피 논란이 심한가요?1. 대주주에 유리한 ‘세금 없는 배당’감액배당은 배당소득세..

Read 2025.07.22

리투오 열풍 속, 진짜 수혜주는 누구인가? — 휴메딕스 vs 엘앤씨바이오

1. 리투오, 피부미용 시장의 새로운 메가 트렌드최근 피부미용 시술 시장에서 '리투오(Elravie Lituo)'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리투오는 인체조직 기반의 재생형 스킨부스터로, 기존 필러나 PDRN과는 차별화된 효능을 내세워 고급 에스테틱 클리닉 중심으로 유행 중이다. 시장은 연간 수백억 원 규모로 성장 가능성이 제기되며 관련 기업들에 대한 관심도 덩달아 커지고 있다.2. 구조적으로는 제조사 엘앤씨바이오가 핵심리투오의 핵심 성분인 hADM(인체동종진피)은 엘앤씨바이오의 조직공학 기반 기술에서 비롯됐다. 이 회사는 국내는 물론 미국, 중국 등으로 글로벌 진출을 모색 중이며, 조직은행 M&A와 NMPA 허가도 병행하고 있다. 따라서 제품의 본질적 경쟁력과 장기적인 수익성 측면에서는 제조사인 엘앤씨바..

Stock 2025.07.22

🌊 북극항로, 왜 지금 현실이 되고 있는가?

1. 북극항로란 무엇인가?북극항로(Arctic Sea Route)는 북극해를 지나 아시아와 유럽을 최단거리로 연결하는 해상 통로입니다.기존의 수에즈운하 경로보다 최대 40% 가까이 운항 거리가 짧아지고, 기간도 2주 이상 단축되며해적 위협도 적고, 항만 정체나 중동 리스크도 피해갈 수 있어21세기 새로운 전략 해상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2. 북극항로가 갑자기 현실화된 이유 3가지① 기후변화: 북극 해빙의 급격한 감소최근 수십 년간 북극의 여름철 해빙 면적은 40% 이상 감소여름에는 일부 구간에서 비쇄빙선도 항해 가능과거엔 얼음에 갇혀 있던 바다가 이제는 뚫려 있는 통로로 바뀐 셈2040년쯤이면 완전 비빙(ice-free) 북극도 가능하다는 전망✅ 북극이 "항해 가능한 바다"가 되면서, 경제성이 생긴 것이..

Read 2025.07.02

빗썸 인적분할, 투자자들은 어떻게 볼까?

2025년 8월 15일, 국내 대표 가상자산 거래소인 빗썸이 인적분할을 단행합니다. 거래소 사업을 담당할 **존속회사(빗썸)**와, 지주 및 신사업을 맡게 될 **신설회사(빗썸에이)**로 나누는 이번 구조 개편은 과연 투자자들에게 어떤 시그널로 읽힐까요?🔍 분할 개요 한눈에 보기분할 방식: 인적분할 (동일 지분율 유지)분할기일: 2025년 8월 15일존속법인: 거래소 운영 (빗썸)신설법인: 지주 및 투자사업 (빗썸에이)IPO 추진: 빗썸은 2026년 상반기 코스닥 상장 목표👍 투자자들이 좋아할 이유1. IPO 기대감 → 기업가치 재조명거래소 사업만 남는 존속법인은 삼성증권을 주관사로 IPO를 준비 중입니다. 사업 구조가 단순해지고 IR 메시지가 명확해지면서 시장 가치 재평가 가능성이 높습니다.2. 분..

카테고리 없음 2025.06.26

📈 트위터에서 테더가 찍히면? 비트코인 자동매매 전략으로 수익내는 법

테더(USDT) 발행이 비트코인 가격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더 나아가, 그 소식이 트위터 Whale Alert 계정을 통해 퍼질 때, 시장 반응은 달라질까요?최근 연구에 따르면 "USDT 발행 + 긍정적 투자심리 + Whale Alert 트윗" 조합은 단기적으로 비트코인 상승을 유발합니다.이 글에서는 해당 논문 내용을 기반으로 실제 알고리즘 트레이딩 전략으로 어떻게 구현할 수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논문 요약: 단기 반응 + 트위터 영향논문: The Intraday Bitcoin Response to Tether Minting and Burning Events (Finance Research Letters, 2022)핵심 내용:USDT 발행 이벤트는 5~30분 동안 비트코인 가격 상승 유발USDT ..

Read 2025.06.17

트럼프 재선 이후, 공화당 CEO 롱 / 민주당 CEO 숏 전략은 통할까?

2024년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하면서, 금융시장에서도 기업의 정치적 정렬이 주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최근 논문 「How CEO donations drive stock prices (Finance Research Letters, 2025)」는 이와 관련된 흥미로운 데이터를 제시합니다.이 글에서는 해당 논문을 바탕으로, 공화당 성향의 CEO가 이끄는 기업을 매수하고, 민주당 성향 CEO 기업을 매도하는 전략이 실제로 수익을 낼 수 있을지 분석해 봅니다.📊 핵심 연구 결과 요약분석 대상: Russell 3000 지수 편입 기업분석 방법: 이벤트 스터디(Event Study)CEO 정치 성향 측정:CEO rep share = 공화당 기부액 / (..

Read 2025.06.16

디지털자산 기본법, 코인 거래소에 어떤 변화가 올까?

안녕하세요, 오늘은 최근 핫이슈인 ‘디지털자산 기본법’에 대해 알아보고, 이 법이 코인 거래소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쉽고 재미있게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코인 투자자, 거래소 관계자, 그리고 블록체인에 관심 있는 분들이라면 꼭 읽어보세요!디지털자산 기본법, 왜 중요한가요?2025년 6월, 국회에서 ‘디지털자산 기본법’이 발의됐다는 소식, 다들 들어보셨나요?이 법은 그동안 제도권 밖에 있던 가상자산(코인) 시장을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겠다는 국가의 첫 신호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가상자산을 제대로 정의하고, 감독 체계도 새로 만들었어요. 이제는 ‘코인’도 주식이나 부동산처럼 법의 테두리 안에서 거래되고, 보호받을 수 있게 된 거죠.주요 내용 한눈에 보기1. 디지털자산의 명확한 정의자산연동형(..

Read 2025.06.12

일본 밸류업 프로그램 vs 한국 상법 개정: 기업가치와 주주권을 둘러싼 전략 비교

“주주가치를 높여라!”2023년 이후, 일본과 한국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기업지배구조를 개혁하며 시장 재평가를 노리고 있다. 일본은 ‘밸류업(Value-Up) 프로그램’을, 한국은 상법 개정을 통해 ‘이사회가 주주를 위한 역할을 제대로 하고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지고 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양국의 주요 정책들을 비교 분석하고, 그 효과와 시사점을 정리해본다.🧭 배경: 왜 지금 '지배구조'인가?일본: 수십 년간의 저성장과 낮은 자본효율성(PBR 한국: ‘코리아 디스카운트’ 문제와 소수주주 권리 침해 논란(예: 삼성물산-제일모직, LG화학 물적분할 등)에 대응해, 이사회의 충실의무 강화, 감사위원 분리선출제, 다중대표소송제 등 상법 개정이 추진되고 있다.🔍 핵심 차이점 비교: 일본 vs 한국항목일본한..

Read 2025.0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