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ck

빗썸 비상장주식 투자 리서치: 경쟁사 비교 및 향후 전망

quantoasis 2025. 3. 27. 16:52
반응형

 

 

최근 빗썸의 상장 가능성이 다시 주목받으며, 비상장주식 투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장기 보유 후 상장 시 매도를 고려하는 투자자들을 위해 빗썸의 기업가치, 경쟁사와의 비교, 리스크 요인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했습니다.


✅ 빗썸 최근 동향과 기업가치 분석

빗썸은 국내 대표 가상자산 거래소로, 2021년에는 연 매출 1조 원을 넘기며 호황을 누렸습니다. 하지만 2022~2023년에는 시장 침체로 매출이 급감했고, 2023년에는 매출 1,358억 원, 영업손실 149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다만 순이익은 243억 원으로 4년 연속 흑자를 유지했습니다.

특히 2023년 말부터 수수료 무료 이벤트를 시작하며 거래량이 급증했고, 2024년 3분기까지 누적 매출은 전년 대비 170% 이상 증가한 3,118억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실적 반등과 함께 IPO(상장)를 다시 추진 중이며, 2025년 하반기 코스닥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빗썸의 밸류에이션은?

비상장사인 빗썸은 시가총액이 명확히 정해지지 않았지만, 실적 기준으로 추정이 가능합니다.

  • 2023년 순이익(243억 원)에 PER 20 적용 시 약 4,800억 원
  • 2022년 순이익(953억 원) 기준으로는 1조 원 이상 평가 가능
  • 2021년 말 FTX 인수 논의 당시에는 4조 원 가치가 언급되기도 함

향후 실적 회복과 IPO 성공 여부에 따라, 상장 시 수천억 원에서 1조 원 이상까지 평가될 수 있습니다.


⚔️ 경쟁사 비교 분석

▶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

  • 국내 거래소 점유율 1위, 2023년 매출 1조 원 이상
  • 순이익은 8,050억 원으로 압도적
  • 카카오와의 연계, NFT·STO 등 신사업 활발
  • 수수료 0.05%로 빗썸보다 낮아 이용자 유입 강함

▶ 코인베이스 (Coinbase)

  • 미국 나스닥 상장사, 시가총액 약 65조 원
  • 2023년 매출 약 5.6조 원, 순이익 약 2.8조 원
  • 글로벌 확장 및 컴플라이언스 중심 경영
  • PER 약 20배, PSR 약 8배 수준

▶ 바이낸스 (Binance)

  • 거래량 세계 1위, 전방위 사업 확장
  • 추정 연매출 15조 원 이상, 수익성 매우 높음
  • BNB 토큰 기반 수익 모델, 생태계 강력
  • 규제 리스크 있음 (미국·유럽 조사 등)

📊 경쟁사와의 밸류에이션 비교

거래소 매출(2023) 순이익(2023) 추정 가치 PER PSR
빗썸 1,358억 원 243억 원 ~1조 원 40배* 7.4배
업비트 1조 1,54억 원 8,050억 원 ~8조 원 10배 7.9배
코인베이스 5.6조 원 2.8조 원 65조 원 20배 8배
바이낸스 15.6조 원(추정) 수조 원 40조 원+ 5~10배(추정) 2~3배(추정)
  • 빗썸은 일시적으로 순이익이 낮아 PER이 높게 나타남

📈 빗썸이 향후 기업가치를 높이기 위한 전략은?

상장을 준비 중인 빗썸이 향후 더 높은 기업가치를 인정받기 위해선 다음과 같은 전략이 필요합니다:

  1. 지속적인 수익 개선: 수수료 정책을 정비하고, 마케팅 비용을 효율화하며 이익률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신사업 확대: NFT 마켓, 증권형 토큰(STO), 디지털 자산 커스터디 등으로 수익원을 다변화해야 합니다.
  3. 글로벌 진출 시도: 한국 내 규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아시아·미국 시장 진출 전략이 필요합니다.
  4. 지배구조 투명화: 상장을 위한 필수 조건인 투명한 경영진 구조와 회계 시스템을 확보해야 합니다.
  5. 기술력 강화: 모바일 앱, 트레이딩 시스템, 보안 인프라의 지속적인 개선을 통해 사용자 경험을 개선해야 합니다.
  6. 규제 대응 선도: 규제 변화에 선제 대응하고, 정부 및 투자자 신뢰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빗썸은 업비트 및 글로벌 경쟁사들과의 격차를 줄이고, 상장 시점에서 프리미엄을 더한 밸류에이션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투자 시 주요 리스크

  • 규제 변화: 특금법, 자산 과세, 상장기준 강화 등
  • 상장 리스크: IPO 지연/실패 가능성, 경영진 이슈, 지배구조 불확실성
  • 경쟁 심화: 업비트와의 점유율 경쟁, 글로벌 거래소의 국내 진출
  • 보안/시스템 문제: 해킹 이력 및 서비스 장애 리스크
  • 가상자산 시황 의존도: 시장 침체 시 수익성 급감 가능

🧭 결론: 장기 투자 시 전략은?

빗썸은 가상자산 거래소 업계 내에서 점유율 확대와 IPO를 통해 재도약을 시도 중이며, 2025년 상장 이후 가치는 현재 대비 2~3배 이상 상승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다만 규제와 시장 상황, 경쟁사의 대응 등에 따라 리스크도 크므로, 상장 전까지 기업 동향과 시장 흐름을 지속 모니터링하며, 상장 시 분할 매도 전략을 고려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 이 글은 투자 권유가 아닌 참고용 리서치 콘텐츠입니다.

반응형